swift
[swift] SOLID 원칙 예시를 써보며 이해해보기
hands-on으로 직접 짜보며 SOLID 원칙을 이해해봅시다! 읽으시는 분들, 좀 더 잘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같이 코드를 작성해보며 이해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SOLID란? 디자인 패턴의 일종으로 아래 다섯가지의 원칙을 지키는 것을 말합니다. 천천히 다섯가지 원칙을 쉬운 예시로 짚어보고자 합니다. Single Responsibility Open-Closed Liskov Substitution Interface Segregation Dependency Inversion 1. Single Responsibility 각각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합니다. 클래스가 몇개의 책임을 맡고 있는지를 세어보고, 하나 이상의 책임을 가진 클래스들은 다른 클래스로 나누어 주는것이 좋습니다. // 이 구조체에..
[swift] Delegate와 UML
Delegate 프로토콜과 함께 어려운 개념이다. 이에 더해 UML로 이를 표현한다면 더욱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자세하게 Delegate에 대해 알아보자. 농부와 강아지의 관계를 프로토콜을 통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농부가 펫을 소유함으로서 동물들이 해야할 역할을 대신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밥을 대신 먹여주기, 대신 씻겨주기, 대신 용변 치우기 등등) UML 알아보기 UML로 표현한 Delegation 우리는 위 UML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줄 것이다. 아래 코드와 함께 천천히 이해해보자. 1. Dog class 정의하기 아래와 같이 Dog Class를 정의해줍니다 class Dog { var petOwning: PetOwning? func bark() { print("왈왈") } func e..